[보험경영분석]DB손보, 보험이 끌고 투자가 밀어 '최대 실적' 경신2조 클럽 진입 임박…구조적 이익 개선된 투자부문이 호실적 기여
이재용 기자공개 2025-02-24 12:42:03
이 기사는 2025년 02월 21일 17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
DB손해보험이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. 연간 순이익 기준 2준 클럽 진입을 목전에 뒀다. 시장금리 하락과 보험 계리가정 변경 등 비우호적인 경영환경 가운데서도 보험손익을 방어하고 투자손익을 크게 개선한 결과다.특히 전년 대비 59%(2770억원) 급증한 투자손익이 호실적에 톡톡히 기여했다. 처분이익 등 일시적인 추가 이익보다는 이익과 배당 등 구조적 이익체력 중심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점에서 더욱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.
◇연간 순이익 1.8조…2조 클럽 목전
실적발표 IR 자료에 따르면 DB손보는 지난해 순이익으로 1조7722억원을 기록했다. 전년 1조5368억원 대비 15.3%(2350억원) 증가한 규모다. 영업이익은 2조170억원에서 2조3630억원으로 17.2%(3460억원) 늘었다. 보험·투자손익은 각 1조6190억원, 7440억원으로 집계됐다.
부문별로 보면 장기보험 손익은 1조3460억원으로 전년과 유사한 실적을 기록했다. 보장성 신계약 보험계약마진(CSM) 배수는 17.8배로 업계 최고 수준이었다. DB손보 측은 고CSM 담보 중심의 매출 활성화와 계약 효율성 등 수익성 중심의 전략을 추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.

자동차보험손익은 전년 대비 46.8%(1502억원) 줄어든 1709억원이다. 보험료 인하 영향과 정비수가 등 보험 원가 상승으로 손해율이 전년 78.3%에서 81.7%로 전년 대비 3.4%포인트 상승한 영향이다. 지난해 발생손해액은 3조4176억원에 달한다. 다만 업계 상위권의 손해율로 흑자 구조를 유지했다.
보험사의 미래 수익성 지표인 CSM 잔액은 연말 기준 12조2318억원으로 나타났다. 연초 12조1524억원 대비 0.4%(793억원) 증가한 규모다.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등 제도 등으로 신계약 효과 등이 반감된 영향이다. 실제 지난해 3분기 말부터 4분기 말까지 가정변경에 의해 -1조5160억원의 CSM 변동이 확인된다.
지급여력(K-ICS·킥스)비율 추정치는 201.5%다. 전년 말 대비 31.6%포인트 감소한 수치다. 가용자본과 요구자본은 각 19조원, 9조4000억원으로 추정된다. 보험부채 할인율 제도와 시장금리 인하,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변경 적용 등으로 같은 기간 가용자본은 6000억원 줄고 요구자본은 1조원 증가했다.
◇투자이익 59% 개선…"구조적 이익 중심 수익 개선"
보험부문이 수익성을 방어해 낸 가운데 투자손익이 급증하면서 연간 호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. DB손보의 지난해 누적기준 투자손익은 7436억원으로 전년 4668억원 대비 59.3%(2768억원) 늘었다. 투자수익은 3조7785억원, 투자비용은 3조349억원을 기록했다.
DB손보 관계자는 "처분익 등 일시적 추가이익보다는 이익과 배당 등 구조적 이익 중심의 수익 개선이 이뤄졌다"고 설명했다. 순투자이익률은 3.25%로 전년 보다 0.25%포인트 개선됐다. 같은 기간 보유이원은 3.70%에서 3.96%로 0.20%포인트 올랐다.
구체적으로 투자손익 구조를 보면 유가증권평가·처분 이익은 824억원, 기타이익은 1672억원 수준이었다. 보험금융과 파생·외환 부문은 각 7702억원, 1078억원의 손실을 냈다. 투자수익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이자·배당수익(1조4088억원)이다. 전년 말 대비 16.6%(2002억원) 증가한 규모다.
< 저작권자 ⓒ 자본시장 미디어 'thebell', 무단 전재,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>
관련기사
best clicks
최신뉴스 in 전체기사
-
- [i-point]32억 투자받은 네온테크, 산불감시 AI 드론 개발 시동
- [IR Briefing]엔알비 "OSC 로드맵 발맞춤, 최초 사례로 시장 선점"
- [한화의 CFO]윤안식 한화솔루션 CFO, '태양광 사업' 안착 후 재무안정 고심
- 한화증권, 강형호 팀장 영입…프랍트레이딩 맡긴다
- 마스턴운용, M&A 다시 속도 붙을까
- 맨하탄서밋, 출범 3년만에 감자 단행
- [3분기 추천상품]'판매고 껑충' 우리은행, 지배구조펀드 추가 '차별화'
- [PB인사이드]한화증권 노동현 부장, 토지보상 1등에 오르기까지
- [3분기 추천상품]판매고 1조 불린 IBK기업은행, 국내펀드 라인업 대폭 확대
- [thebell PB Survey]자산가 투자 심리 반등…리스크 테이킹 '공격적'
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
-
- [ESG 모니터]수은, '2030 로드맵' 재정비 배경은
- [금융사 해외 전초, 제재 리스크]호주, AML 제재 준수 핵심 의무화에 한인은행 '촉각'
- [IBK기업은행 인사 풍향계]임기 만료 앞둔 부행장 4인 거취는
- 경제·금융당국 개편 '윤곽'
- [FIU 검사수탁기관 돋보기]AML 실효성 '최상위' 산림조합중앙회
- [Policy Radar]보험사 듀레이션 갭 '범위 규제' 도입되나
- [FIU 검사수탁기관 돋보기]신협중앙회, 고밀도 '삼원화' AML 체계 구축
- [FIU 검사수탁기관 돋보기]수협중앙회, 여전한 AML '감독 공백'
- [FIU 검사수탁기관 돋보기]'모범기관' 농협중앙회, 전문검사 부족은 아쉬워
- [하나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]그룹 밸류업 계획 '중추' 정영석 CFO