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Peer Match Up/DB손보 vs 메리츠화재]상품 라인업에서 갈린 보험비용 증가폭②[수익성]비용 5천억 늘어난 DB, 메리츠의 두배…자동차·해외보험 손실 여파
정태현 기자공개 2025-06-30 12:38:31
[편집자주]
'피어 프레셔(Peer Pressure)'란 사회적 동물이라면 벗어날 수 없는 무형의 압력이다. 무리마다 존재하는 암묵적 룰이 행위와 가치판단을 지배한다. 기업의 세계는 어떨까. 동일업종 기업들은 보다 실리적 이유에서 비슷한 행동양식을 공유한다. 사업 양태가 대동소이하니 같은 매크로 이슈에 영향을 받고 고객 풀 역시 겹친다. 그러나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. 태생부터 지배구조, 투자와 재무전략까지. 기업의 경쟁력을 가르는 차이를 THE CFO가 들여다본다.
이 기사는 2025년 06월 26일 16시17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
올해 1분기 DB손해보험과 메리츠화재의 순이익 싸움은 보험비용에서 결과가 갈렸다. DB손보는 보험수익을 메리츠화재와 비슷하게 키웠지만, 보험비용은 두 배 넘게 늘었다.DB손보가 힘을 쏟는 자동차보험과 해외보험에서 손해율이 상승한 영향이다. 상대적으로 장기보험에 집중하던 메리츠화재는 DB손보와 달리 미국 LA 산불 여파에서 벗어나 있었다.
◇근소하게 3분기 연속 순익 앞선 메리츠
각사 경영공시에 따르면 메리츠화재의 올해 1분기 순이익은 4625억원으로 DB손해보험(4470억원)을 근소하게 앞질렀다.

두 곳 모두 지난해 1분기보다 순익이 줄었지만 DB손보의 감소 폭이 더 두드러졌다. 메리츠화재의 순익이 전년 동기 4909억원에서 5.8% 감소에 그친 반면, DB손보는 5834억원에서 23.4%나 줄었다.
보험수익보다 보험비용이 두 곳의 순익 순위를 결정지었다. 보험수익은 메리츠화재와 DB손해보험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.2%, 4.7%씩 안정적으로 증가했다.
반면 보험비용에선 증가 규모가 두 배 넘게 차이를 보였다. 메리츠화재의 보험비용이 1조7826억원에서 1조9962억원으로 2136억원 증가할 동안, DB손보는 2조8267억원에서 3조2955억원으로 4688억원 늘었다.
손해율이 오르고 금리가 내린 영향을 받았다. DB손보의 보험비용 부문 중 1년 새 가장 많이 늘어난 항목은 발생사고부채(LIC) 조정이다. LIC는 이미 발생한 사고에 대해 지급하지 않은 보험금 관련 회계 계정이다. 지급할 보험금 등 비용의 현재가치와 위험조정(RA)으로 산정한다.
LIC 조정은 해당 분기에 LIC가 얼마나 변했는지를 보험비용으로 인식하는 걸 말한다. 보통 사고와 재해로 지급할 보험금을 새로 인식하거나, 금리 인하로 미래 현금흐름의 가치가 커질 때 LIC 조정이 증가한다.
◇LA 산불에 자동차보험 요율 인하, 타격 큰 DB
DB손해보험은 상대적으로 자동차보험과 해외원보험에 힘을 쏟고 있다. 결과적으로 자동차보험 요율 인하와 미국 LA 산불로 인한 타격을 더 받았다.
DB손보는 전신이 자동차보험전업사인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로, 자동차보험에 적합한 영업 환경을 갖췄다. 효율 극대화 전략을 구사하는 메리츠화재는 자동차보험보다 장기보험에 집중하고, 해외 사업도 안정성에 방점을 두고 있다.
메리츠화재의 1분기 총보험서비스비용 중 자동차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은 10.5%다. 해외보험의 경우 환입 등의 영향으로 비용이 오히려 마이너스(-) 3억1600만원으로 인식됐다. 총보험비용에서 두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10.5%다.
DB손보의 경우 총보험비용 중 자동차보험과 해외보험 비중이 각각 29.0%, 7.7%로 집계됐다. 총 36.7%에 달했다. 특히 해외보험 부문 비용이 전년 동기 1280억원보다 두 배가량 늘어 2528억원을 기록했다.
DB손보 관계자는 "일반보험은 미국 LA 산불의 영향을 받아 손해율이 전년 동기보다 10.1%포인트(p) 증가했다"며 "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요율 인하로 대당경과보험료가 계속 감소해 2.9%p 올랐다"고 말했다.
DB손보의 1분기 일반보험 손해율은 78.4%로 전년 동기 68.3%보다 10%p 넘게 올랐다. 메리츠화재의 상승 폭 4.9%p의 두 배 수준이다. 결과적으로 메리츠화재의 일반보험 손해율 72.7%보다 DB손보가 5.7%p 높았다.
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메리츠화재(82.5%)가 DB손보(81.1%)보다 1.4%p 높았다. 다만 자동차보험의 규모가 차이 나다보니 관련 비용은 DB손보(9568억원)가 메리츠화재(1895억원)의 다섯 배 컸다.
< 저작권자 ⓒ 자본시장 미디어 'thebell', 무단 전재,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>
관련기사
best clicks
최신뉴스 in 전체기사
-
- 한투운용, '가상자산ETF' 선제적 채비…전문 수탁사 맞손
- [i-point]레이저쎌, 동우화인켐에 rLSR 장비 공급
- 3400억 조달 코스모그룹, 캐즘 불구 유리한 조건
- 3대 신사업 장착 SK가스, 세전이익 '5000억 이상' 목표
- 태광에 힘쏟은 트러스톤, 법적 대응 카드까지 꺼냈다
- [매니저 프로파일]'건설 스타 애널리스트의 변신' 라진성 팀장
- [PF NPL 펀드 러시]수익성 매력 vs 리스크 관리…증권업계 PBS '신중 모드'
- [Market Watch]손익차등형 펀드, 리테일서 열풍…운용사 몫은 줄었다
-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, 꾸준한 배당수익 눈길
- 구도운용, '목표달성형' 조기청산…데이터 전략 통했다
정태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
-
- MG손보 매각 재추진…계약이전 내 원매자 등장 관건
- [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]콜옵션 행사한 푸본현대생명, 추가 조달 전망
- [Peer Match Up/DB손보 vs 메리츠화재]상품 라인업에서 갈린 보험비용 증가폭
- [Peer Match Up/DB손보 vs 메리츠화재]IFRS17 도입 후 치열해진 손해보험 2위
- [보험사 신성장 동력]카카오페이손보, 여행보험 이어 건강보험 승부수
- 녹록지 않은 보험사 신성장 동력
- [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]'자본잠식' KDB생명, 고강도 체질개선 불가피
- [보험사 신성장 동력]KB손보 '확장의 헬스케어' B2B도 드라이브
- 한화생명, 권혁웅·이경근 각자대표 체제 'AI 방점'
- 한화그룹 가는 여승주 한화생명 부회장…영전 배경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