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JPI헬스케어 IPO]FI 일괄 매각 제한 확약에도 '6개월 오버행' 이슈 잔존특수관계인 포함 전체주주 5명, 유일한 기관 'YJA인베스트먼트' 엑시트 관건
한태희 기자공개 2025-07-08 08:31:47
이 기사는 2025년 07월 07일 08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
전체 주주가 5명에 불과한 JPI헬스케어의 오버행 이슈는 사실상 FI(재무적투자자)인 YJA인베스트먼트의 엑시트 시기가 관건이다. 최대주주와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을 제외한 지분 전량을 모두 한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.YJA인베스트먼트는 경영 안정성을 위해 보유 지분을 2년간 개인, 법인에 일괄 매각하지 않겠다고 확약했다. 다만 공모 후에도 30%대의 높은 지분율을 보유하게 되는 만큼 상장 6개월 후 지분 전량이 시장이 출회할 수 있는 점은 위험요소로 지목된다.
JPI헬스케어는 이번 코스닥 상장 과정에서 일반 공모 방식으로 공모주식의 57%인 신주 90만주, 43%인 구주 68만주를 발행한다. 희망공모가 밴드 하단인 주당 1만6500원을 기준으로 모집가액을 산정했을 경우 총 예상 공모 금액은 261억원이다.
JPI헬스케어의 현재 최대주주인 김진국 대표 및 특수관계인은 공모 전 기준으로 50.51%의 지분을 보유했다. 2대주주인 YJA헬스케어성장지원사모투자합자회사 측 지분율은 49.49%로 격차는 1%p 수준에 불과하다.
PEF 운용사 YJA인베스트먼트는 2019년 프로젝트 펀드를 통해 JPI헬스케어에 200억원 상당 투자를 집행했다. 기존 최대주주였던 김진원 사장 지분을 인수했다. YJA인베스트먼트는 2015년 큐캐피탈파트너스 출신 유은상 대표 등 3인이 설립한 PEF 운용사다.
JPI헬스케어의 2대주주인 YJA헬스케어성장지원사모투자합자회사는 상장 과정에서 보유한 205만8000주 중 50만주를 구주매출하기로 했다. 이와 함께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이승혜 씨도 보유한 74만주 중 18만주를 구주매출 대상에 포함했다.

YJA헬스케어성장지원사모투자합자회사는 구주매출 대상 주식을 제외한 155만8000주에 대해 상장일로부터 3~6개월 동안 자발적 보호예수를 걸었다. 이 외에도 2년간 보유 중인 주식을 경영안정성을 저해할 개인 또는 법인에 일괄 매각하지 않겠다고 확약했다.
YJA인베스트먼트는 지분 매각이 필요한 경우 회사 및 최대주주와 사전에 협의해 현 최대주주인 김 대표에 우선매수권을 부여하기로 했다. 김 대표 및 특수관계인 이승혜 씨는 6개월간 의무보유 및 자발적 의무보유기간 2년을 추가로 설정하기도 했다.
YJA인베스트먼트의 지분은 공모 후 상당 부분 희석되나 여전히 30%대 유의미한 지분율을 확보한다. 다만 상장 후 6개월 뒤에는 보호예수가 전량 해제된다. 시장 유통가능 물량은 6개월 뒤 63.33%까지 확대되는 만큼 오버행 이슈가 제기될 수 있다.
JPI헬스케어 관계자는 "상장 과정에서 공모로 유입된 자금은 안산 시화 공장의 캐파 확장 등 생산시설 확충에 투입할 계획"이라고 말했다.
< 저작권자 ⓒ 자본시장 미디어 'thebell', 무단 전재,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>
관련기사
best clicks
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
-
- [i-point]32억 투자받은 네온테크, 산불감시 AI 드론 개발 시동
- [IR Briefing]엔알비 "OSC 로드맵 발맞춤, 최초 사례로 시장 선점"
- [한화의 CFO]윤안식 한화솔루션 CFO, '태양광 사업' 안착 후 재무안정 고심
- [i-point]큐브엔터 '나우즈', 글로벌 차트 존재감 입증
- [Sanction Radar]알테오젠 마지막 퍼즐 '생산' 트럼프에 중단된 오리온 협업
- [보안산업+블록체인 콜라보]안랩, B2B 플랫폼 사업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
- [i-point]신성이엔지, 223억 규모 정부과제 주관 선정
- [포스코의 CFO]정대형 포스코퓨처엠 전무, 투자 지속-재무개선 병행 과제
- [i-point]엑스플러스, 200억대 투자 통해 B2C 전환 시동
- 더블유게임즈, M&A 카드로 주주불만 잠재우나
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
-
- 인투셀, 에이비엘 L/O 결별 '특허' 발목…전방위적 영향
- [K-바이오 CGM 진출 전략]골리앗 '애보트·덱스콤' 시장 양분…'특허·FTO' 분석 핵심
- [2025 상반기 제약바이오 마켓리뷰]한산했던 M&A '뷰티' 활약, 매출·법차손 '생존결단'도 눈길
- 해외 유통사에 1000억 쓴 에스디바이오, '키미오랩' 또 인수
- [JPI헬스케어 IPO]FI 일괄 매각 제한 확약에도 '6개월 오버행' 이슈 잔존
- '대웅 자회사' 대웅개발, 의료 디벨로퍼 출신 대표 선임
- 씨젠의 M&A '트윈타워' 전략, 전략기획실 임원 영입
- [K-바이오텍 열전]핀테라퓨틱스 상장 도전기, 컴퍼니빌더부터 IPO까지
- [영상]'삼성·인바디 참가' ERA, 신장학 '지식의 장' 열렸다
- [바이오텍 유증·메자닌 승부수]보로노이, CB 콜옵션 확대 '셀다운' 리스크 최소화 전략